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공모주 청약

[공모주 투자 배우기③] 공모주 일정 정보 찾는 사이트-다트, 38커뮤니케이션 외 3곳

반응형

 

기업이 IPO 심사 청구 후 승인을 받게 되면 공모주 청약 일정에 들어갑니다. 보통 승인에서 청약일정 게시까지 45~90일 정도 걸리는데요. 공모주 투자를 위해선 미리 일정과 기업 정보를 알아야 되겠죠?
오늘 포스팅에선 공모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5곳을 알려드릴게요.

 

 

1. 네이버 IPO - https://m.stock.naver.com/domestic/ipo/scheduled


가장 쉬운 방법은 초록창을 이용하는 겁니다. 네이버 증권에서 IPO 탭을 선택하면 공모주 청약 기업의 내용과 심사 진행 상태에 있는 기업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카카오페이 공모주 알리미


국민 어플 카카오에서도 공모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요. 바로 '카카오페이 공모주 알림 서비스'입니다.
설정 방법은 카카오페이 어플 메인 화면 → 하단 [전체] → [공모주 알리미] 선택(별표 터치 시 즐겨찾기 기능 on)  → 약관 동의하여 관련된 알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소 늦은 업데이트로 공시 사이트나 증권사보다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참고용으로 이용하신다면 좋을 것 같아요.
카카오페이에서는 전반적인 청약일정 정보뿐만 아니라 공모청약일인 기업의 증권사별 경쟁률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30분~1시간 간격으로 반영된다는 점 기억해주세요. 이외에도 청약일, 환불일, 상장일 등 전반적인 스케줄을 확인해서 해당 날짜에 알림으로 받아볼 수 있으니 일정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편리합니다.

 

 


 

공시제도는 기업의 중요한 내부정보(영업실적, 재무상태, 중요 경영사항 등)를 정기/수시적으로 증권시장에 공개하여 투자자 스스로 판단과 책임하에 투자 결정을 내리도록 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전자공시제도와 관련하여 상장법인들은 공시자료를 두 군데 시스템에 접속해서 제출하게 되어있습니다. 하나는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시스템이고, 나머지 하나는 한국거래소에서 운영하는 상장공시 시스템입니다.

상장법인이 등록하는 자료도 각기 달라 금융감독원의 DART 시스템에는 정기공시, 발행공시, 주요 사항 보고, 지분공시 등을 신고해야 하고, 한국거래소의 KIND 시스템에는 수시공시, 조회공시, 공정공시 등을 신고해야 합니다.

즉, 공모주 청약 시 각 시스템별로 확인할 수 있는 기업의 정보도 다르니 선별하여 이용하시면 됩니다.

 

 


3.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dart.fss.or.kr


기업공시에 관련한 자료를 조회 및 열람할 수 있는 곳으로 흔히 '다트'라고 부릅니다. 홈페이지나 다트 어플을 이용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인화면에서 회사명으로 검색하여 증권신고서 또는 투자설명서를 통해 공모주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증권설명서를 열면 '핵심 투자위험 알림 문'이 가장 먼저 보이는데요. 공모주 투자와 관련해 투자자가 알아야 할 투자위험 사항이 시장/사업/ 회사/기타 별로 정리되어 있어 투자자라면 반드시 읽고 넘어가야 하는 문서입니다.




4. 상장공시시스템 - kind.krx.co.kr


이곳은 한국거래소에서 운영하는 기업 공시채널입니다. IPO 현황 및 상장법인 상세정보, 투자유의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38커뮤니케이션 - https://www.38.co.kr/


비상장주식/장외주식 전문 사이트이지만 공모주에 대한 정보가 잘 정리되어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IPO 예정 기업분석과 청약/IR 일정, 캘린더, 공모주 관련 뉴스, 예상 가격 등을 제공하여 투자에 필요한 전반적인 내용을 한눈에 확인하기에 유용합니다.

 

특히 공모주 종목명을 클릭하면 기업 개요부터 공모 정보, 청약 일정, 의무보유 확약비율 등 청약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줍니다. 또한 해당 토론방에서 사람들의 의견도 살필 수 있어 투자할만한 기업을 고르기에 좋은 사이트라는 반응이 많습니다.

 

 

제가 준비한건 여기까지입니다. 각 사이트마다 제공하는 서비스가 약간씩 다르니 그점 참고하셔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